공학인증 개요
공학인증 개념
- 공학교육인증제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(ABEEK: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)으로부터 공학계열 학과(전공)의 프로그램을 인증 받는 제도입니다.
- 공학교육인증제는 진정한 의미의 공학인을 양성하기 위한 제도로 산업체의 요구를 교과과정에 지속적으로 반영시킴으로써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이 실제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음을 보장하며 나아가 국제적인 전문 엔지니어로 인증 받고 일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특징
- 01ABEEK 인증은 공학교육을 대상으로 하고, 공학프로그램 단위, 즉 전공분야 별로 인증한다. 우선 4년제 학사과정을 주 대상으로 하고, 2년제 학사과정이나 고급 학위과정에 관해서는 추후에 취급하기로 한다. 또 교육요소에 치중하고 연구요소는 고려하지 않는다.
- 02ABEEK 인증에서는 외형적인 교육 지표보다는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충실도를 진단한다. 특정 공학교육프로그램이 소정의 최소 인증기준을 만족하는지 (또 해당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이 소정의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) 여부를 인증하고, 또 이를 가능하게 하도록 자문을 제공 한다.
- 03ABEEK 인증은 교육프로그램별로 인증 여부를 결정할 뿐, 등급이나 서열을 매기지 않는다. 또 인증내용은 대외비로 취급하고, 산업체(즉, 고용주)가 요구할 때에만 제공한다. 단, 인증된 공학프로그램은 해당 대학의 안내 책자에 명시할 수 있도록 한다.
- 04ABEEK 인증은 자발적인 참여를 기조로 한다. 즉 인증받기를 희망하는 대학에 한해서 인증심사를 하고, 획일적인 적용은 배제한다. 또 인증불참 대학에 대한 아무런 직접적인 제재도 없다. 다만, 졸업생 취업시와 신입생 모집시에 그 영향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.
- 05ABEEK 인증은 공학현장이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을 반영한다. 공학교육의 요구사항은 직접 공학현장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해서 도출하고, 인증평가 활동에도 산업계 전문가들이 대폭 참여하도록 한다. 그렇게 함으로써 공학교육이 공학현장이 필요로하는 전문능력 및 자질을 배양하는 데에 주력하도록 한다.
- 06ABEEK 인증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최소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절대평가이다. 이것은 기존의 국내 평가들이 국내 대학교육기관들간의 상대적인 성취도를 측정하는 상대평가이었던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.
인증필요성
인증목적
- 인증된 프로그램의 졸업생은 공학실무를 담당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보증
-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
- 공학교육에 새롭게 창의적인 접근방법을 고취
- 인증된 프로그램을 사회에 공지
인증기관
한국공학교육인증원(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)은?
- ABEEK : 공학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여 ABEEK이 제시하는 양질의 교육 기준을 만족하면 인증을 주는 기관
-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1999년에 한국공학한림원, 한국공학기술학회, 교육부, 산업자원부, 전국공과대학장협의회, 산업체, 공학관련 전문학회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창립
ABEEK 설립의 기본목적
- 공학교육 교과내용에 대한 폭넓은 진단 및 평가 프로그램을 설정
- 공과대학들의 교육프로그램 수립과 개선을 위해 협조
- 공학 및 공학 관련 직업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능력개발을 도움으로써, 공학교육 전반에 걸쳐 내실있는 발전도모
- 지식산업사회에서 주도적인 기여를 할 실력 있고 창의력 있는 엔지니어들을 배출
이를 위하여 ABEEK은 공과대학의 외형적인 제도나 시설을 평가하기보다는 구체적인 교과내용충실도를 진단 및 평가하게 됩니다.그리고 이와같은 교육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강의실,실험실,설계실등의 시설구비 여부,교수 및 조교의 확보 여부,재정적인 건실성 여부,행정직원 보조의 충실도 등도 함께 점검하게 됩니다.